어룡사(魚龍沙)의 신비
어룡사(魚龍沙)의 신비
지금 포항제철소가 자리잡고 있는 일대를 ‘어룡사’, ‘어룡불’, 또는 ‘어링이불’ 이라고 불렀다.
옛 사람들은 장기곶이 영일만을 감싸고 동해로 길 게 돌출한 것을 보고 마치 용이 등천하는 형국이라 하여 용미등(龍尾嶝)이라 부르고, 흥해읍 용덕리의 ‘용덕곶’ 이 동남으로 돌출한 것을 어약승천(魚躍勝天)의 형국으로 보았다.
양곶[兩岬]의 형상을 풍수학적으로 어룡상투(魚龍相鬪)의 형국으로 보았다. 그래서 영일만의 중심지대인 이곳을 어룡사라고 부르게 된 것이었다.
또 이 ‘어룡사’ 는 광의(廣意), 협의(狹意)의 ‘어룡사’ 로 나누고 있다. 광의의 어룡사는 동해면 약전동으로부터 형산강을 지나 포항시 두호동에 이르는 넓은 백사장을 총칭하는 것이고, 협의의 어룡사는 형산강 하류를 중심으로 남쪽과 북쪽, 즉 포항제철소가 자리잡은 지대와 지금의 포항송도 해수욕장 전역을 말한다.
장장 20여리나 되는 옛날의 어룡사는 모래벌판으로 풀 한 포기없는 황무지였다고 한다. 동지섣달의 하늬바람이불어 닥치면 눈을 뜰 수 없고 발을 붙일 수도 없는 지대로서 수천만년 동안 황폐하여져서 갈매기가 나래를 쉬어가는 절해의 고도와 같았다.
조선의 유명한 지상학자였던 성지(性智)가 이 지역을 둘러보고는 범상한 곳이 아니라는 말을 했다.
서편의 운제산이 십 리쯤만 떨어졌더라도 수십만의 사람이 살았을 거라고 했다.
그러나 이만한 위치와 지형이라도 좀 늦어지기는 하겠으나 많은 사람이 모여 살 거라고 예언했다.
같이 길을 나섰던 이 지방의 선비들이 풀 한포기 없는 이 백사장에 어찌 수십만의 사람이 살 수 있는 대도시가 된단
말인가 하고 그의 말을 믿으려 하지 않자, 성지(性智)는 혼자말처럼 ‘죽생어룡사 가활만인지 서기동천래 회망무사 (竹生魚龍沙 可活萬人地 西器東天來 回望無沙場)’ 이라는 시를 뇌었다고 한다.
위 글의 의미를 새겨 보면 「 어룡사에 대나무가 나면 가히 수만이 살 곳이니라. 서쪽 그릇이 동쪽 하늘에 오면, 돌이켜 보니 모래밭이 없어졌더라 」로 해석할 수 있다.
그 이후 이 지방에는 성지(性智)의 예언이 널리 퍼졌다고 한다.
이 예언은 수백년이 지나도 아무런 징조가 없더니 약 30년 전, 어룡사가 포항제철 부지로 선정되어 대나무 같은 굴뚝이 치솟아 올라가고, 수십만의 사람이 모여 살게 됨으로써 실현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