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봉사 마애불 [龍鳳寺磨崖佛]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신경리 용봉사에 있는 불상. 1985년 7월 19일 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118호로 지정되었다. 용봉사 입구에 있는 바위벽에 돋을새김으로 새겨진 마애불로 높이는 230㎝이다. 불상 옆에는 799년(소성왕 1) 4월에 조성되었다는 명문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우리나라 고대의 마애불중 명문이 있는 것으로는 단석산신선사마애불상군(국보 199), 802년 제작된 방어산마애불(보물 159), 835년 제작된 경주시 남산마애불이 전해지는데, 이 중 용봉사마애불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 명문은 3행 종서로 새겨져 있고, 한자의 크기는 가로 세로 모두 10㎝ 내외이다. 모두 31자이나 4자는 심하게 마멸되어 알아볼 수 없다. 내용은 소성왕 원년에 제작되었다는 것, 대조법사가 만들었다는 것, 후원자는 장진대사라는 것이다.
머리는 소발이며 크고, 육계가 솟아 있다. 얼굴은 타원형이며 볼륨감 있게 표현되었다. 눈과 입은 얼굴에 비해 작다. 눈은 가늘게 떠 있고, 코는 좁고 오똑하다. 얼굴과 비교해 손은 유난히 작다. 엷은 미소를 띠고 있어 8세기 신라시대의 이상적인 불상의 얼굴 특징을 볼 수 있다. 몸은 평면적으로 양감이 별로 느껴지지 않는다. 수인은 오른쪽은 내리고 왼쪽은 들려 있어 특이하며, 몸에 비해 아주 작은 편이다. 옷주름은 U자형으로 둘러져 있다. 8세기의 이상적 사실주의가 보이면서 9세기 양식의 특징도 많이 표현되어 있어서, 9세기 양식의 시작을 알려주는 불상으로 높이 평가된다.
* 용봉사 마애불 전경.
* 신라 소성왕 원년에 대조법사가 만들었다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8호로 지정된 마애불이 어딘가 모르게 조금은 어색한 것이 미숙한 석공의 솜씨인 듯하다.
* 용봉사 일주문을 나와 돌아본 풍경.
* 용봉사 앞 주차장으로 가는길.
2012.04.08 호젓한오솔길
'♥ 오솔길 산행방 ♥ > 문화,고적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슬산의 유가사 (0) | 2012.12.02 |
---|---|
비슬산의 대견사지 삼층석탑, 대견사지 마애불 (0) | 2012.12.02 |
충남 홍성 용봉사 (0) | 2012.04.11 |
충남, 홍성 신경리 마애석불 (0) | 2012.04.11 |
충남 홍성 용봉산 최영장군 활터 (0) | 201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