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낙동정맥 종주 자료 낙동정맥 (洛東正脈) 강원도 태백시의 구봉산(九峰山)에서 부산 다대포의 몰운대(沒雲臺)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맥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산과 물이 조화를 .. ♥ 오솔길 자료실 ♥/대간,정맥 자료 2016.02.17
[스크랩] 낙남정맥의 개요, 개념도, 지도, 고도표 1대간. 1정간. 13정맥. 10대강 산경도 여암 신경준의 "산경표"에서는 우리나라의 산줄기를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분류하였다.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갈라진 산줄기는 모든 강의 유역을 경계 지었다. 동해안, 서해안으로 흘러 드는 강을 양분하는 큰 산줄기를 대간, 정간이라 하고, 그로부터 .. ♥ 오솔길 자료실 ♥/대간,정맥 자료 2016.02.10
금남정맥, 금강정맥 지도 1대간. 1정간. 13정맥. 10대강 산경도 여암 신경준의 "산경표"에서는 우리나라의 산줄기를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분류하였다.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갈라진 산줄기는 모든 강의 유역을 경계 지었다. 동해안, 서해안으로 흘러 드는 강을 양분하는 큰 산줄기를 대간, 정간이라 하고, 그로부터 .. ♥ 오솔길 자료실 ♥/대간,정맥 자료 2016.01.16
백두대간 구간 실측거리 및 접속거리 ※ 포항셀파 그룹에서 측정한 남한 측 백두대간 구간 실측거리 및 접속거리 순 서 구 간(km) 실측거리 대간거리 접속거리 1 2 천왕봉-1.6-장터목산장-0.8-연하봉-1.86촛대봉-0.6-세석산장-2.0-칠선봉-1.5선비샘-2.55-벽소령-1.3-형제봉-2.05-연하천-2.94-토끼봉-1.25-화개재-0.75-삼도봉-2.15-임걸령-1.05-돼.. ♥ 오솔길 자료실 ♥/대간,정맥 자료 2015.01.10
백두대간 산경표 ♣ 백두대간 여러 의미의 백두대간 1)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이 땅을 산과 강이 정연한 원칙에 따라 어우러져 있는 유기체와 같은 존재로 바라보았다. 전통적 지리 인식체계에서는 산의 흐름을 살아있는 나무에 비유하여, 기둥줄기와 큰 줄기, 그리고 작은 줄기와 곁가지로 나뉘는 것으.. ♥ 오솔길 자료실 ♥/대간,정맥 자료 2014.08.17
우리나라 산 경표 우리나라 산 경표 ♧ 백두대간 개관 지리산에서 백두산까지 산줄기로 연결된 것을 백두대간(白頭大幹)이라 한다 백두대간의 개념이 언제부터 우리민족의 지리 관으로 자리잡았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사료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는 것은 조선 초부터 지도상에 반영되었다고 할수 .. ♥ 오솔길 자료실 ♥/대간,정맥 자료 2014.08.17
백두대간이란? 백두대간이란? 백두대간 개관 우리 땅의 물줄기 가른 산줄기, 족보기술식으로 정리한 전통 지리개념 우리나라의 옛 지도들은 산줄기 지도라 할 수 있다. 살펴보면 연결되지 않는 산줄기는 없다. 함경북도의 두만강 끝에서 목포의 유달산까지도, 평안북도 신의주 앞산에서 부산의 금정산.. ♥ 오솔길 자료실 ♥/대간,정맥 자료 2014.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