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간십이지 [ 十干十二支 ] 십간십이지 [ 十干十二支 ] 중국의 역법에서 가장 잘 쓰이는 주기(週期). 십간은 10일, 즉 1순(旬)이라는 뜻에서 나온 것 같으며,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로 표현된다. 점술가는 십간을 천간(天干)이라 하고 다음과 같이 음양(.. ♥ 오솔길 사랑방 ♥/가례,전통자료 2013.12.30
알고 보면 쉬운 가족 호칭 알고 보면 쉬운 가족 호칭 결혼을 하면서 새로운 가족을 맞이한 신랑 신부. 어른인 건 알겠는데 어떻게 불러야 할지 모르겠다. 명절을 앞두고 올바른 호칭을 미리 익혀두어 쭈뼛대지 말고 자신있게 불러드리자. >>아내의 입장 며느리가 알아야 할 가족 호칭 시댁 식구들을 부를 때 아.. ♥ 오솔길 사랑방 ♥/가례,전통자료 2013.09.21
예의 바른 사위로 점수 올리는 술자리 예절 안내서 예의 바른 사위로 점수 올리는 술자리 예절 안내서 우리나라는 예부터 친족 공동체의 유대관계에서 비롯된 음주 예절을 지켜왔다. 특히 장인은 예비 사위를 불러 음주습관을 통해 그 됨됨이를 알아보기도 한다. 자칫 과하거나 덜하면 가풍 없는 집안의 자손으로 눈총받기 십상. 예의 바.. ♥ 오솔길 사랑방 ♥/가례,전통자료 2013.09.12
세계가 반한 K팝과 국악, 결정적 매력은 관객과 호흡하는 '興' 세계가 반한 K팝과 국악, 결정적 매력은 관객과 호흡하는 '興' 허윤희 기자 ostinato@chosun.com [③흥(興)] 판소리 명창 안숙선, 아이돌 가수 아이유 "아이고, 예쁘네. 손이랑 몸을 움직이는 게 꼭 발림(판소리의 몸짓) 같은데? 이렇게 휘감아 내는 게 자연스럽고 좋네요." 명창 안숙선(63)이 아이.. ♥ 오솔길 사랑방 ♥/가례,전통자료 2012.09.21
능청거리는 품밟기에 우리 민족의 기개가 서리다 자유롭고 자주적인 정신이 녹아있는 전통 무예 택견의 몸짓에는 역사적인 호흡이 깃들어 있다. 우리 선조의 기상과 기백이 사람과 사람으로 이어져 내려온다. 택견의 역사는 반만 년이 넘는다. 그 시원始原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겠지만, 문헌의 기록을 살펴보았을 때 택견이 아.. ♥ 오솔길 사랑방 ♥/가례,전통자료 2012.04.24
족보보기 상식 ◎ 보첩(譜牒) 일반 상식 1. 시조(始祖)·비조(鼻祖)·중조(中祖) - 시조(始祖)란 제일 처음의 선조(先祖)로써 첫 번째 조상이며 - 비조(鼻祖)란 시조 이전의 선계조상(先系祖上)중 가장 높은 사람을 일컫는다. - 중시조(中始祖)란 시조이하 계대(系代)에대 가문(家門)을 중흥(中興)시.. ♥ 오솔길 사랑방 ♥/가례,전통자료 2012.01.27
친족(親族)의 호칭(呼稱) 친족(親族)의 호칭(呼稱) 한 사회의 친족 제도의 발달과 직결된 것으로 직계존비속(直系尊卑屬), 내종간(內從間)의 촌수, 외가에 대한 계보, 친족과 친족에 대한 호칭, 사돈간(査頓間)에 대한 것 등 옛날에 일반적으로 쓰던 호칭이 지금은 없어져 가는 것도 있으나, 아직도 생활에 .. ♥ 오솔길 사랑방 ♥/가례,전통자료 2012.01.27
촌수따지기 오늘날 통용되는 계촌법(計寸法)은 고려말에 들어와 유교사회인 조선시대에 정착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중국의 주자가례(朱子家禮)가 토대가 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금은 전해지지 않지만 조선시대 이전에도 이렇게 혈연관계를 따지는 뿌리깊은 전통이 있었을 것.. ♥ 오솔길 사랑방 ♥/가례,전통자료 2012.01.27
나이의 한자 명칭 *막 태여났을때를 의미하는것 -농경(弄璟) : 예전에는 아들을 낳으면 구슬[璟]장난감을 주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유래한 말이고 아들을 낳은 경사를 농경지경(弄璟之慶)이라고 합니다. -농와(弄瓦) : 마찬가지로 딸을 낳으면 실패(瓦)장난감을 주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딸을 낳은 경.. ♥ 오솔길 사랑방 ♥/가례,전통자료 2012.01.26
친인척간의 계촌법과 호칭 친인척간의 계촌법과 호칭 남 자 (直系) 5촌 현조부 (玄祖父) | 4촌 6촌 고조부 (高祖父) 종고조 (從高祖) | | 3촌 5촌 7촌 증조부 (曾祖父) 종증조 (從曾祖) 재종증조 (再從曾祖) | | | 2촌 4촌 6촌 8촌 조부 (祖父) 종조 (從祖) 재종조 (再從祖) 3종조 (三從祖)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부 (父) 백숙부 (伯叔父) 종.. ♥ 오솔길 사랑방 ♥/가례,전통자료 201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