칡 [kuzu vine]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덩굴식물. | |||||||||
|
칡은 다년생 식물로서 겨울에도 얼어 죽지않고 대부분의 줄기가 살아남는다. 줄기는 매년 굵어져서 굵은 줄기를 이루기 때문에 나무로 분류된다. 산기슭의 양지에서 자라는데 적당한 습기와 땅속이 깊은 곳에서 잘 자라며 줄기의 길이는 20m이상 뻗쳐있다. 추위에도 강하지만 염분이 많은 바닷가에서도 잘 자란다. 줄기는 길게 뻗어가면서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고 갈색 또는 흰색의 털이 있으나 새로 생긴 줄기에만 달려있고 곧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잎자루가 길며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다. 작은잎은 털이 많고 마름모꼴 또는 넓은 타원 모양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10∼15cm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얕게 3개로 갈라진다. 잎 뒷면은 흰색을 띠고, 턱잎은 길이 15∼20mm의 바소꼴이다.
꽃은 8월에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길이 10∼25cm의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수가 달린다. 포는 길이 8∼10mm의 줄 모양이고 긴 털이 있으며, 작은포는 좁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이다. 꽃의 모양은 나비 모양이다.열매는 협과이고 길이 4∼9cm의 넓은 줄 모양이며 굵은 털이 있고 9∼10월에 익는다.
칡은 오래전부터 구황작물로 식용되었고 자양강장제 등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갈근(葛根)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발한·해열 등의 효과가 있다. 뿌리의 녹말은 갈분(葛粉)이라 하며 녹두가루와 섞어서 갈분국수를 만들어 식용하였고, 줄기의 껍질은 갈포(葛布)의 원료로 쓰였다. 최근에는 칡의 용도가 한정되는 경향이며 뿌리를 삶은 물은 칡차로만 이용한다.
칡의 효능
갈근(葛根) :칡뿌리
�불휘(조선시대 이름)性平(一云冷)味甘無毒主風寒頭痛解肌發表出汗開独(腠)理解酒毒止煩渴開胃下食治胸膈熱通小腸療金瘡
성질은 평하고(일전에는 냉하다고도 함) 맛은 달며 독은 없는 약재로, 풍한으로 인한 두통, 주리를 열어 땀을 나게 하며 주독을 풀고, 번갈을 그치게 하며 음식맛을 나게 하고 소화를 잘 되게 하며 가슴에 열을 없애고 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쇠붙이에 다친 것을 치료하는 데 쓴다.
○生山中處處有之五月五日採根暴乾以入土深者爲佳(本草)
산중의 도처에서 자라는 데, 단오무렵에 채취해서 햇볕에 바짝말려뒀다가 쓰며, 땅속 깊이 박힌 것이 좋다(본초).
○一名鹿藿《本草》
일명 녹곽이라고도 한다(본초).
○足陽明經行經的藥也
족양명경(足陽明經 위경)에 행경하는 약이니라.
通行足陽明之經生津止渴虛渴者非此不能除也
족양명경에 들어가 진액을 생기게 하여 갈증을 그치게 하는 데, 허로 인한 갈증은 이약이 아니고는 제할 수 없느니라.
凡病酒及渴者得之甚良亦治溫病消渴(湯液)
무릇 술로 생긴 병, 갈증이 심한 데 매우 좋으며, 온병, 소갈(消渴 당뇨) 등에도 좋다(탕액).
생근(生根) :날 칡뿌리
破血合瘡墮胎解酒毒身熱酒黃 小便赤澁
파혈(나쁜 피를 부숨), 상처를 아물게 하고, 타태해(墮胎解 유산을 방지함), 술독으로 열이 나는 술로 황달이 생겨 소변색이 붉고 껄끄러운 증세를 치료한다.
○生根搗取汁飮療消渴傷寒瘟病壯熱(本草)
생뿌리를 절구에 짓찧어 즙을 내어 쓰는 데, 소갈, 상한, 온병 등으로 몹시 열이나는 데 쓰인다(본초).
갈곡(葛穀) : 칡씨
主下痢十年已上穀卽是實也(本草)
갈엽(葛葉) : 칡잎
主金瘡止血婔碎付之(本草)
금창(金瘡 쇠붙이에 다친 상처), 지혈(止血)을 주치하는 데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본초)
갈화(葛花) : 칡꽃
主消渴毒
소갈독을 주치한다.
○葛花與小豆花等分爲末服飮酒不知醉(本草)
갈화(葛花)와 소두화(小豆花 팥꽃)를 같은 양으로 가루로 만들어 복용하면 음주(飮酒)를 해도 취하는 줄 모른다(본초).
갈분(葛粉) : 칡가루
性大寒味甘無毒止煩渴利大小便小兒熱搽(本草)
성질은 몹시 차고 맛은 달며 독이 없는 약재로, 번갈(煩渴)을 그치게 하고 대소변(大小便)을 잘 눕게하며, 소아열차(小兒熱搽 열이 나면서 오목가슴이 묵직한 증세)를 치료하는 데 쓴다(본초).
○採生葛根搗爛浸水中涑出粉澄成片擘塊下沸湯中以蜜生拌食之解酒客渴甚妙(入門)
생갈근(生葛根)을 채취하여 문드러지게 짓찧어 물에 담가 속출분등(涑出粉澄 주물러 헹구면 맑은 가루가 나옴)하면 아래로 덩어리가 져서 가라앉게 되는 데, 이 덩이를 끓는 물에 풀어 꿀에 타서 먹으면 술마신 사람의 갈증을 푸는 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의학입문).
요즘 산행길에서는 칡꽃이 만발하여 진한 향기를 한창 풍기고 있읍니다..칡꽃은 꿀이 많아서 벌들도 많아 모여들고 있군요..꿀을 생산하는 양봉업에는 칡이 좋은 역할을 하지만..칡덩굴은 나무를 칭칭감아 올라가서 결국엔 나무를 말라죽게 하므로서 산림을 많이 회손한다고 제거 작업을 많이 하지난 번식력이 하도 좋와서 계속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는듯하네요.
칡 덩굴의 줄기는 하도 질겨서 옛날에는 겨울철에는 칡 줄기를 베어다가 나뭇단을 묵는등 울타리묵음,초가지붕 추녀끝 묵음등 새끼줄 이상으로 가정에서 여러가지로 용하게 많이 사용했답니다.
칡뿌리 생즙이 몸에 좋은 약이 된다고 하여 요즘은 많이들 찾고 있지만..어릴적에는 봄철 보리고개(춘궁기)에 산에가서 칡뿌리를 캐어서 갈분을 만들어 죽을수어 연명하는것을 보고 자라왔습니다..그 시절에는 칡뿌리 가루를 양식으로 계속 먹으니 얼굴이 푸석푸석 부은 사람들도 있었답니다...무엇이든 너무 많이 먹으면 건강을 해치는가 봅니다..
2007.08.21 호젓한오솔길
'♥ 오솔길 산행방 ♥ > 야생화,꽃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귀비 꽃 (0) | 2007.08.24 |
---|---|
배롱나무꽃, 목백일홍 (0) | 2007.08.22 |
달맞이꽃, 월견초 (0) | 2007.08.13 |
까치수영 (까치수염) (0) | 2007.08.09 |
봉선화, 노랑물봉선화 (0) | 2007.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