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솔길 자료실 ♥/산야초,약재

싸리버섯, 노랑싸리버섯, 붉은싸리버섯

호젓한오솔길 2007. 8. 28. 23:43

 * 식용 싸리버섯.. 

 

싸리버섯

 

담자균류 민주름목 싸리버섯과의 버섯.
학명 Ramaria botrytis
분류 민주름목 싸리버섯과
분포지역 전세계
서식장소 침엽수, 활엽수림 내의 땅위
크기 높이 7∼15cm, 넓이 7∼12cm

 

가을에 침엽수·활엽수림 내의 땅 위에서 발생한다. 3∼5cm의 굵은 백색 자루 위에 싸리비꼴의 가지를 치고 끝부분은 수많은 작은 가지가 모여 담홍색에서 담자색으로 꽃양배추 모양이 된다.

크기는 높이 7∼15cm, 넓이 7∼12cm이고 살은 백색으로 꽉차 있으며 육질이고 잘 부스러진다. 포자는 긴 타원형이고 세로로 긴 줄이 있으며 포자무늬는 황토색이다. 널리 알려진 맛있는 식용버섯이다.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

 

 

 * 식용 싸리버섯..

 

 * 식용 싸리버섯..

  

 * 식용 싸리버섯..

 

 

노랑싸리버섯

 

담자균류 싸리버섯과에 속하는 버섯.
학명 Ramaria flava
분류 담자균류 싸리버섯과
분포지역 아시아·유럽·한국
크기 높이 10~20㎝, 너비 10~15㎝

 

싸리버섯처럼 나뭇가지 모양이며 높이 10~20㎝, 너비 10~15㎝이다. 겉면은 노란색과 붉은빛을 띠는 황토색이다. 버섯대는 흰색이며 다 자랐거나 상처가 나면 붉은색이 된다.

밑부분의 굵은 줄기는 여러 번 잔가지로 갈라지며 잔가지는 다시 2~3개로 짧게 갈라진다. 버섯살은 잘 부서지며 포자는 긴 타원형으로 연한 밤색이고 겉면은 매끈하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나
침엽수림의 습기 있는 땅과 썩은 나무에서 난다. 한국과 아시아·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독버섯으로 설사·구토·복통을 일으킨다.

 

 

 * 노랑싸리버섯...독버섯이라고 하네요..

 

* 노랑싸리버섯...독버섯이라고 하네요..

 

 

붉은싸리버섯

 

담자균류 민주름목 싸리버섯과의 버섯.
학명 Ramaria formosa
분류 담자균류 민주름목 싸리버섯과
분포지역 한국·일본 등의 북반구와 오스트레일리아
서식장소 활엽수림의 땅 위
크기 자실체 높이 5∼20cm, 너비 10∼20cm

 

자실체 높이 5∼20cm, 너비 10∼20cm이다. 9∼10월이 되면 활엽수림의 땅 위에서 줄을 지어 자란다. 자실체는 크기가 큰 편으로 산호형이다. 자루는 짧고 뭉툭하며 가지가 여러 개로 나뉘어 있다. 갈라진 가지의 윗부분은 가늘고, 가지 끝에서는 짧고 작은 가지가 2∼3개로 나뉘어져 있다. 가지가 갈라지는 모양은 포크형이거나 U자형이다.

가지의 면은 평평하고 미끄러우며, 오렌지빛을 띤 홍색이다. 갈라진 가지의 끝은 노란색을 띠고, 성숙하면 약간 갈색으로 변한다. 또 흠집이 생기면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한다. 살은 흰색이고 고기처럼 느껴지며, 맛이 조금 쓰다. 포자는 긴 타원형이고 표면에는 가는 사마귀가 있으며 포자무늬는 빛깔이 탁한 노란색이다.

독버섯으로 잘못 먹으면 구토·설사·복통 등을 일으킨다. 언뜻 보아서는 싸리버섯과 비슷하지만 싸리버섯의 가지 끝은 연한 주홍색 또는 연한 자주색으로 맛과 향이 좋은 점이 다르다. 한국·일본 등의 북반구오스트레일리아 등에 분포한다.

 

 

 * 독버섯인 붉은싸리버섯 입니다.

 

* 연보라색을 띤...이놈은 좀 이상하네요.. 아마도 독버섯이겠지요..

 

 

어릴적에 시골에서 부모님들이 산에서 자주 따 왔어 끓는물에 살짝 삶아서 양념에 뭍쳐 먹으면 입안을 살살 녹이던 그 맛있던 싸리버섯 들입니다...그러나 싸리버섯을 잘못 먹어서 구토 설사를 하여 죽을 고비를 넘긴 사람들도 많이 있었는데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네요.. 산행길에서 담아온 싸리버섯 사진들에다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아다가 붙여보니 확연이 표시가 나는군요... 같은 싸리버섯 이라도 그 종류에 따라 맛있는 식용도 있고 독이 있는 독버섯도 있군요...버섯은 잘 모르면서 함부로 채취하여 복용하는 것은 집단 자살행위가 되는것 같으므로 가급적 삼가하는 것이 좋은 듯 합니다..

 

2007.08.27 호젓한오솔길

 

'♥ 오솔길 자료실 ♥ > 산야초,약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상황버섯  (0) 2007.12.26
모과  (0) 2007.10.31
망태버섯  (0) 2007.08.28
구릿대  (0) 2007.08.28
영지버섯  (0) 2007.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