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태버섯
담자균류 말뚝버섯과의 버섯. | |||||||||||||||
|
장마철에서 가을에 걸쳐 주로 대나무 숲이나 잡목림 등의 지상에서 발생한다. 처음에는 땅속에 지름 3∼5cm의 백색 뱀알 모양의 덩어리가 생기고 밑부분에 다소 가지친 긴 균사속이 뿌리같이 붙어 있으며 점차 위쪽 부분이 터지면서 버섯이 솟아나온다.
자루는 주머니에서 곧게 10∼20cm의 높이로 뻗어 나오고 순백색이며 속이 비어 있고 수많은 다각형의 소실(小室)로 된다. 갓은 주름잡힌 삿갓 모양을 이루고 강한 냄새가 나는 올리브색 ·암갈색의 점액 포자로 뒤덮인다.
이 버섯의 특징은 갓의 내면과 자루 위쪽 사이에서 순백색의 망사 모양의 망태가 확 퍼져 내려와 밑부분은 땅 위까지 내려와서 화려한 레이스를 쓴 것 같이 되는 점이다. 주머니에서 자루가 솟아나와 망태가 퍼지는 속도는 급속히 이루어진다. 강한 냄새가 나는 포자를 씻어 없애면 순백 무취로 된다.
식용버섯이며, 중국에서는 건조품을 죽손(竹蓀)이라 하여 진중한 식품으로 이용하고 있다. 유럽 지역을 제외하고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버섯의특징
가. 육안적 특징
* 자실체 : 크기는 3.5~4cm이고 난형~구형의 모양으로 백색~담자갈색의 색깔을 가지며 외피막 상부는 갈라지고 말뚝버섯과 비슷한 형태의 버섯이 나온다. 하면에서 부터 흰색인 망목상의 그물이 치마모양으로 펼쳐지며 크기는 10~15cm이다.
* 갓 : 크기는 2.5~4×2.5~4cm로 두형~종형의 모양을 가지며 정단부에는 작은 구멍이 있으며, 표면은 망목상의 형태로 홈이 있고 암갈색의 점액이 있다.
* 대 : 크기는 10~20×1.5~3cm이며 백색으로 홈 반점이 있다.
* 대주머니 : 대주머니가 있으며 내부는 젤라틴질로 차 있다.
* 냄새 : 악취가 난다.
나. 현미경적 특징
* 포자의 크기는 3.5~4.5×1.5~2.2㎛이고 타원형이며 표면은 평활하다
* 식용 가능성 : 식용으로 가능하다. 중국, 홍콩 등지에서 중국요리에 진귀한 재료로 이용하며 유기질을 이용하여 인공재배를 한다.
* 발생시기 및 장소 : 가을에 혼합림내 또는 화전지 주위의 지상에 발생한다.
* 분포 : 한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장마철에서 가을에 걸쳐 주로 대나무 숲이나 잡목림 등의 지상에서 발생합니다.
대나무 숲에서는 흰색으로, 잡목림에서는 노랑색으로 발생합니다.
처음에는 땅속에 지름 3∼5cm의 백색 뱀알 모양의 덩어리가 생기고 밑부분에 다소 가지친 긴 균사속이 뿌리같이 붙어 있으며 점차 위쪽 부분이 터지면서 버섯이 솟아 나옵니다. 자루는 주머니에서 곧게 10∼20cm의 높이로 뻗어 나오고 순백색이며 속이 비어 있고 수많은 다각형의 작은 방으로 됩니다. 갓은 주름잡힌 삿갓 모양을 이루고 강한 냄새가 나는 올리브색 ·암갈색의 점액 포자로 뒤덮여 있습니다.
이 버섯의 특징은 갓의 내면과 자루 위쪽 사이에서 순백색 또는 노란색 망사 모양의 망태가 확 퍼져 내려와 밑부분은 땅 위까지 내려와서 화려한 레이스를 쓴 것 같이 되는 점입니다. 주머니에서 자루가 솟아나와 망태가 퍼지는 속도는 급속히 이루어집니다.
강한 냄새가 나는 포자를 씻어 없애면 순백 무취로 됩니다. 이 냄새 때문에 곤충들이 모입니다.
식용버섯이며, 중국에서는 건조품을 죽손(竹蓀)이라 하여 진중한 식품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유럽 지역을 제외하고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합니다.
산행길에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망태버섯.. 인간이 실로짠 만태기 처럼 모양이 하도 신기하여 만나면 사진에 담아오곤 했는데.. 이것도 중국에서는 진귀한 식용 재료로 쓰이며 인공재배도 한다고 하는군요.. 하여간 중국 동네 사람들은 못먹는것이 없는가 봅니다...ㅎㅎ
2007.08.27 호젓한오솔길
'♥ 오솔길 자료실 ♥ > 산야초,약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과 (0) | 2007.10.31 |
---|---|
싸리버섯, 노랑싸리버섯, 붉은싸리버섯 (0) | 2007.08.28 |
구릿대 (0) | 2007.08.28 |
영지버섯 (0) | 2007.08.17 |
"동충하초" 가 뭐길래...? (0) | 2007.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