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솔길 자료실 ♥/산야초,약재

영지버섯

호젓한오솔길 2007. 8. 17. 13:03

   

 

영 지 [ 靈 芝 ]

 

담자균류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

학명 Ganoderma lucidum
분류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
분포지역 전세계
서식장소

활엽수 뿌리에서 발생

 

불로초라고도 한다. 여름에 활엽수 뿌리에서 발생하여 땅 위에도 돋는다. 갓과 자루 표면에 옻칠을 한 것과 같은 광택이 있는 1년생 버섯이다. 갓은 반원형·신장형 또는 부채 모양이며 표면이 편평하고 동심형의 환구()가 있다. 처음에는 난황백색이나 황갈색 또는 적갈색으로 변하고 노성하면 밤갈색으로 된다. 살은 코르크질이며, 상하 2층으로 상층은 거의 백색이고 관공()부분의 하층은 연주황색이다.

 

갓의 밑면은 황백색이며 길이 5 ~10mm의 관공이 1층으로 늘어서 있고 공구()는 둥글다. 자루는 3~15×1~2cm이고 적갈색에서 흑갈색이며 단단한 각피로 싸여 있고 약간 굴곡한다. 포자는 2중막이며 포자무늬는 담갈색이다.

한방에서는 강장·진해·소종() 등의 효능이 있어
신경쇠약·심장병·고혈압·각종 암종에 사용한다. 이 버섯은 갓자루가 단단한 각피로 싸여 있고 니스를 칠한 것 같은 광택이 있어 일본에서는 만년버섯, 중국에서는 영지라고 하여 한약재료로 귀하게 사용하고 장식용으로도 이용된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네이버백과 에서>

  

 

 

영지버섯의 종류

 

1, 적지(붉은색) 2, 흑지(검은색) 3, 자지(보라색) 4, 녹각영지(사슴뿔) 5, 백지(흰색) 6, 황지(황금색) 7, 청지(푸른색) 8, 편목영지(자루없이 평평함 큰것은 솥뚜껑만한것도 발견됨) 9, 쓰가영지


영지버섯은 민주름버섯목 불로초과에 속하는 버섯이다.  흔히 영지라고 하면 적색을 띤 자루가 달린 적지를 말한다.  영지버섯 종류 가운데 외모가 가장 아름답고 효과도 높다.  1년생이며 활엽수의 썩은 그루터기에 자연 상태로 자생한다.  편목영지는 다년생이다.  맛은 다섯가지 맛이 나며 강장, 진정, 양신익정, 자보, 견근골 한다. 

 

항종양 억제율이 70~80 퍼센트이다.  혈압조절, 혈장 및 간 콜레스테롤억제, 혈당 강하, 면역 증강, 보체계 및 망막계 활성, 노화억제, 생리활성, 세포활성, 항염, 항균, 항알레르기, 항히스타민, 항남성 호르몬, 해독, 정혈, 보간, 이뇨 작요을 한다.  최근에 에이즈 바이러스 억제작용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주로 허로, 고혈압, 저혈압, 동맥경화, 신부전증, 뇌졸중, 건망증, 불면증, 위궤양, 급 만성간염, 신경쇠약, 관절염, 심장 및 위장 허약, 소화불량, 변비, 하리, 복통, 발열, 알레르기증, 빈혈, 심계항진, 도한, 신우신염, 폐결핵, 만성기관지염, 천식, 폐렴, 감기, 눈병, 비염, 중독, 탈모증, 성인병 등에 널리 작용한다.  현재 양모제의 원료로 이용중이다. 

 


영지(靈芝)란?


健康長寿를 상징하는 十長生図에 보이는 不老草가 바로 靈芝다.


◈ 영지의 유래 및 역사

일반적 「만년이 또는 신천초」 일본「만년버섯, 중국「신초, 선초, 불사초, 황제의약」, 한국「불로초」 「신농본초경」 약 2,000년전 후한시대<자연의 풀뿌리, 나무껍질 인체실험 효능 확인> : 영지는 심산유곡 명산대처에 선인들이 내려와 노리는 선경에만 조용히 나는 신선초.


「본초강목」 명시대 의학자 [이시진] 이 약의 효험을 상, 중, 하로 분류 영 지는 상약 : 눈이 맑아지고 장을 보호하며 정혼약량, 기혜의 역량을 높여 기억력 증진, 심기보강, 비장보호, 의지력을 강하게 하며 콩 팥을 돕고 혹, 악성종양을 치료, 통증해소, 풍을 다스리며 자궁암, 장암 등에서 오는 출혈을 방지하고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신선이 된다 라고 기록

 

「중국 고대의 진시황」신선술자를 시켜 불노불사의 영약을 구해 오도록 명하여 동방의 여러나라를 탐험케 했다.

「한서무제기」 감천궁에 영지가 나 이를 상서롭다고 가리어서 노래를 짓게 했다.(芝房)

「일 본 서 기」일본 23대 천황때 3개의 영지 발견 천황에 헌상, 발견자에게 성씨하사(三枝部建)

「동 의 보 감」 독이 없고 마음을 밝게 하여 위를 양생시키고 오래 살며 안색이 좋아지고 배고픈 줄을 모르게 한다.

 
● 중국에서는 환상적 영초로 취급, 자녀 출가시 장속에 넣어 보내 일생일대의 대난사에 부딪혔을 때 비상용으로 사용했으며 천하태평 가내 행운의 상징으로 추녀 및 베게 양쪽 옆 출입문의 좌우에 장식.

 
● 고대에 영지를 얻기가 왜 힘들었는가?

1. 늙은 매화나무 10만그루중 2~3그루에서 채취

2. 발견이 어려웠고 보았어도 독버섯으로 오인

3. 홀씨가 무거워 번식 저조

4. 성장조건이 까다롭다.

 

각종 활엽수의 썩은 나무둥치에 붙어서 기생하는 균핵으로 반월형으로 된 삿갓만 붙어서 성장한다.

영지는 강장, 진정제로 불면증, 고혈압, 당뇨병, 저혈압증, 동맥경화, 항암제 등으로 써서 성인병 치료에 새로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요즘에는 주로 인공재배에 의해 공급되고 있다.

 

매기생은 잔나비걸상이라고도 부르며 한방에서는 <매기생>이라 하여 심장약, 해열제로 써 왔으나 최근에 와서 항암작용이 있음이 알려져서 위암, 간암 등 암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원래 매기생은 매화나무의 고목에 붙은 것을 말하는 것이나 현재는 구별하지 않고

시판하고 있다.

 

[약성]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심, 비, 폐, 간경에 작용하여 장기들의 기를 보하고 힘줄과 뼈를 튼튼히 한다.


[효능]

몸이 허한데, 기허증, 혈허증, 신경쇠약환자의 불면증, 간염, 고혈압, 동맥경화증, 만성기관지염, 협심증 등에 쓴다.

빈혈, 뇌진탕후유증, 편두통, 류마티스성관절염, 콩팥염, 갑상선기능항진등에도 일정한 효과가 있다.


[쓰는량]하루 3-10g


[복용법]

물 2리터에 영지버섯 30g을 넣고 약한불에 놓고 반으로 줄을때까지 은근히 졸인후   식혀서 냉장고에 보관. 아침,저녁 공복에 소주잔으로 한잔씩 마심.   한번 끓여서 우려낸 영지는 다시 보리물처럼 우려먹어도 됨.

 


각종 버섯에 들어있는 13가지 효과

1.항종양할성

2.면역증강, 항염증작용

3.혈당승하작용

4.강심작용

5.혈압승하작용

6.콜레스테롤 저하작용

7.항혈전작용

8.항바이러스 작용

9.치매증 개선작용

10.비만억제작용

11.섭식억제 할성효과

12.식물섬유효과

13.골다공증등의 예방효과

 

지구상에 나는 대부분의 버섯들이 건강상에 특히 버섯의 경우에는 버섯의 균사체가 암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성인병과 암 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영지버섯의 약리작용

▶항암(抗癌)효과 :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

▶조압(調壓)작용 : 혈압을 조절하는 작용

▶정혈(淨血)작용 : 피를 깨끗하게 하는 작용

▶감당(減糖)작용 : 혈당을 줄이는 작용

▶천식(喘息)억제 : 기관지,천식 억제 작용

▶면역(免疫)작용 : 전염병에 걸리지 않게 하는 작용

▶보간(補肝)작용 : 간장을 보호하는 작용

▶강정(强精)작용 : 정력을 강하게 하는 작용

▶이뇨(利尿)작용 :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작용

▶해독(解毒)작용 : 체내의 독소를 풀어주는 작용

▶소염(消炎)작용 : 염증을 삭혀주는 작용

▶강심(强心)작용 : 심장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

 < 다음 신지식 에서 >

  

 

 

불로초 버섯 영지버섯

 

‘불로초 버섯’으로 알려진 영지버섯은 주로 여름철 활엽수 뿌리에서 생겨난다. 특이하게도 갓과 자루 표면에 마치 옻칠을 한 것처럼 광택이 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영지버섯은 약용버섯 가운데서 군계일학과도 같은 존재이다.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일이 열거하기도 벅차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 밝혀진 바에 의하면 영지버섯에는 혈압을 조절하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고혈압과 저혈압을 정상으로 만들어준다.
호흡기 계통에도 효능이 커 천식이나 만성기관지염 치료에 뚜렷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뿐만이 아니다. 간 보호작용이 있어 간염 환자에게도 좋고 심장기능을 돕는 기능이 있어 협심증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영지버섯의 주요 성분인 베타 글루칸은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암세포를 억제하는 작용까지 있어 의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는 게 장현유 교수의 귀띔이다.
 
☞이렇게 활용하세요!
영지버섯의 약효를 가장 효과적으로 섭취하기 위해서는 달여서 그 즙을 먹는 것이다.
만드는 요령은 간단하다. 물 2ℓ에 손바닥 만한 영지버섯의 1/4을 넣고 푹 달여서 그 즙이 1ℓ가 되게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세 번을 달여서 그 즙을 한데 섞은 뒤 냉장고에 넣어두고 하루 두 컵 정도 마시면 된다.
특히 영지버섯의 경우는 쓴맛이 강한데 만약 쓴맛이 싫다면 끓일 때 대추나 감초 적당량을 넣고 끓이면 된다.
 < 다음 신지식 에서 >

   

 

 

▣ 영지버섯이란?  

       
 영지버섯은 민주름 버섯목 불로초과 불로초에 속하는 균으로서 학명은 Ganoderma lucidum(FR.)Karst이다.
영지버섯은 북아메리카,아시아,유럽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활엽수 고사목에 발생하는 백색 목재 부후균이며 30℃이상의 고온기에 다습조건에서 잘 생육한다.
잔나비 걸상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예로부터 이른 만년 버섯으로 불리어 왔다.
영지는 담자균류의 일종으로 원산지는 중국이다.  사람의 눈에 좀처럼 띄지 않는 깊은 산림 속의 나무에 극히 희귀하게 기생하는 버섯으로 자연생 영지는 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본초강목에서는 영지를 산삼과 더불어 상약중의 상약으로 취급하여 ‘ 영지를 오래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불로장생하여 마침내 신선이 된다 ’ 고 했을 정도입니다.  
     
  ▒ 음용방법       
영지 50g이 10일분입니다.영지 50g을 약탕기에 넣고 물 3리터를 붓고 끓이기를 2~3분 지나 일단 불을끄고 5분쯤 지나서 약한 불로 30분간 다리면 1500cc의 액이 되면서 1탕이 완료됩니다.
같은 방법으로 재탕 삼탕(물의 양은 초탕의 반)하여 전체 다린물을 혼합하여 냉장보관하여 드십니다.
쉽게 드시는 방법으로 영지 10g(절편 3조각 정도)과 물 3000cc정도에 약간의 감초나 구기자,대추,보리차 등을 기호에 맞게 가미하여 쓴맛이 적게 끓여 온가족이 함께 물 대신 이용하거나 음료수 대용으로 복용하면 소화가 잘되어 속이 편하고 위장기능이 개선됩니다.  
     
  ▒ 보도자료   
 + 중앙일보 1995년4월15일-신비 벗겨지는 영지버섯 약효
- 대한약학회 국제 심포지엄: 간암 세포 억제 작용,간장 보호 작용효과가 뛰어났다고 관절염,기관지염 등 염증성 질환에도 효과
+ 동아일보(83년6월9일)-항암성분,영지버섯에 많다.남성의 정력보강에 좋다.

   82년 12월22일: 영지에서 항암성분추출 약업계 제품화 연구 활발
+ 한국 경제신문 83년4월17일-혈액을 깨끗이 청소...성인병에 탁월한 효과 정력보강 뛰어나
+ 보건신문83년2월10일-성인병 치료와 예방의 명약<영지>
+ 한국 경제신문83년7월17일-피맑게 해줘 고혈압 치료에도 으뜸, 부작용 없고 간기능 활동 원할케.....
+ 매일경제신문 83년 9월14일-암진행의 억제효능인 게르마늄 성분이 다량 함유
+ 동아일보85년2월25일-약효 산삼에 버금
+ 국민일보 1997년6월16일 -‘ [영지]항암효과 실험으로 증명 ’원자력병원 윤택구 박사팀 발표영지버섯의 균사체 추출물을 폐암 유반 물질을 투여한 쥐에게 6주동안 부약한 결과 발암률이 크게 떨어�다고 밝혔다.  

 < 다음 신지식 에서 >

  

 

 

요즘 산행길에서 가끔식 만나는 영지버섯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기 위해.. 최근 산행길에서 담아 온 변변치 못한 영지버섯 사진들에 다가.. 여기 저기에서 가져온 자료들을 여과없이 나열해 보았습니다...결론은 영지는 몸에 좋은 것이고..유사한 독버섯과 구분하여 채취만 잘 하면.. 부작용 염려없이 안심하고 복용해도 된다는 내용인 듯 합니다..

 

2007.08.17 호젓한오솔길

 

'♥ 오솔길 자료실 ♥ > 산야초,약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태버섯  (0) 2007.08.28
구릿대  (0) 2007.08.28
"동충하초" 가 뭐길래...?  (0) 2007.08.07
도라지꽃, 도라지  (0) 2007.07.12
으름덩굴,꽃,열매  (0) 2007.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