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산악지형
우리나라는 동쪽은 높고 서쪽은 낮은 비대칭적이다.
한반도는 중생대 쥐라기 말 가장 심한 지각 변동을 받아 강한 습곡과 단층작용으로 곳곳에 산이 형성되었다.
이후 오랫동안 침식을 받아 오다가 신생대 제3기에 이르러 “비대칭적 융기운동”의 결과로 동고서저의 지형이 완성되었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산은 평균 해발고도 482m로 히말라야 알프스처럼 높고 험준하지 않는 노년기 지형이다.
해발고도가 대부분 500m미만의 산지를 “저산성산지”라 하며 또한 오랜 지질시대를 거쳐 내려오는 동안에 끊임없이 침식작용을 받은 결과 경사가 완만한 “구릉성 산지”가 되었다.
동고서저의 비대칭적인 지형은 수력발전에 이용되었고 또한 서늘한 기후를 이용해 “고랭지 농업”이 발달되었다.
참고로 대구의 해발은 46m이다
출처 : 호젓한오솔길
글쓴이 : 호젓한오솔길 원글보기
메모 :
'♥ 오솔길 자료실 ♥ > 산글,산행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저체온증 응급처치와 예방 (0) | 2007.12.28 |
---|---|
[스크랩] 저체온증 증상 (0) | 2007.12.28 |
[스크랩] 고대 등산사, 국내 등반사 (0) | 2007.12.28 |
[스크랩] 지리산을 오르는 17가지 코스 (0) | 2007.12.28 |
[스크랩] 우리나라 100대 명산 지도 (0) | 2007.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