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로버트 파지오 교수가 말하는 잘못된 구강상식 *
스케일링 한번하면 계속해야된다
식후 껌 씹으면 양치질 안해도 돼..임신중엔 치과치료 받아선 안된다
<영남일보,유선태기자>
지난해 9월, 밀레니엄 힐튼 서울호텔에서 열린 '치주질환 학술 심포지엄'에 참석한 미국 예일대학의 로버트 파지오 교수는 "치주질환을 앓고 있는 임신부가 그렇지 않은 임신부에 비해 저체중아를 조기 출산할 위험성이 무려 7배나 높다"고 발표했다. 이는 치주질환이 전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속설을 입증한 임상 결과다.
또 치아나 기타 다른 구강조직이 얼굴의 모양에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가는 치아나 다른 구강조직이 결손된 사람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인체의 다른 기관과 달리 치아는 한번 손상되면 원상회복이 어려운 만큼 예방이 최선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잘못된 구강건강 상식을 로버트 파지오 교수의 도움말로 정리해 본다.
◇잇몸병을 먹는 약으로도 고칠 수 있다
잇몸병의 원인은 치태(플라크)와 치석이다. 이들의 형성을 막고 이미 형성돼 있는 치태와 치석을 제거해주는 게 잇몸병 치료를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가장 흔한 방법이 치석제거술(스케일링)이다.
◇스케일링을 하면 이가 깎여 나가서 시리므로 안 하는 것이 좋다
스케일링은 치아에 붙어 있는 치태 및 치석을 제거하는 치료로 치아에는 전혀 손상을 주지 않는다. 스케일링을 한 후에 이가 시린 것은 두껍게 붙어 있는 치석을 다 떼어내면 잇몸 염증이 가라앉으면서 부어 있던 잇몸이 수축되고 치아뿌리가 노출되기 때문이다. 시일이 지나면 괜찮아진다.
◇스케일링은 한 번 하게 되면 자꾸 해야 하기 때문에 안 하는 것이 좋다
치석은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결합돼 생성되는 해로운 물질로, 제거하지 않으면 치아 및 잇몸에 염증을 일으킨다. 또한 계속 치아 뿌리방향으로 파고들기 때문에 치아가 흔들리게 되고 결국에는 치아가 빠지는 경우도 생긴다. 따라서 스케일링은 자꾸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정기적으로해야만 한다.
◇치약은 비쌀수록 좋은 것인가
치약은 약이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이를 닦는 데 도움을 주는 세치제다. 그런데 치약이라고 불리면서 마치 치약의 선택이 이를 잘 닦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인양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양치질에서 제일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은 칫솔모의 기계적인 작용이다. 치약은 칫솔이 치아표면을 문지르면서 청소하는 데 도움을 줄 뿐이다. 양치질을 제대로 하는 게 중요하지, 어떤 치약을 쓰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치료는 치과의사에게 받고 이는 돌팔이에게 해 넣어도 된다
보철은 치아 대신 여러 가지 금속을 이용해 없어진 치아를 복구하는 치료다. 이 치료 과정은 단순한 복구만이 아닌 저작기능의 회복과 발음, 아름다움, 치주조직의 보호 등 상당히 세밀하고 복잡한 과정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제대로 된 보철물을 하지 않을 경우 보철물 밑의 치아나 인접치, 치주조직에 악영향을 미쳐 치주질환에 걸리기 쉽고 교합이상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식후에 껌을 씹으면 양치질을 하지 않아도 된다
양치질의 목적은 치아표면의 플라크를 제거하는 것이다. 껌을 씹는다고 치태가 제거되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음식물의 찌꺼기를 치아 표면에 부착시킨다고 볼 수 있다. 껌에 당분이 다량 함유됐다면 더욱 해로울 수 있다. 또 식사와 말하기 등 끊임없이 일하고 있는 악관절에 휴식을 주지 않고 계속 일을 시키는 결과가 와서 좋지 않다.
◇임신 중에는 치과 치료를 받으면 안 된다
그렇지 않다. 이를 뽑을 때 사용하는 국소마취제는 태아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있다. 오히려 치통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치주질환은 산모의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치주질환은 조산과 저체중아 출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 조무현 원장의 잇몸병 체크리스트 *
치주질환은 큰 통증이나 증상없이 상당히 오랜동안 진행되는 만성적인 경우가 많다. 때문에 방치하면 낭패보기 일쑤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치과를 방문, 잇몸 상태에 대해 검사를 받아 봐야 한다.
▶양치질할 때 잇몸에서 피가 난다
▶잇몸이 우리하게 아프다
▶이가 흔들거리는 것 같다
▶입에서 냄새가 많이 나며 입맛이 나쁘다
▶잇몸이 내려가서 이 사이 공간이 검게 보인다
▶치석이 많이 있는 것
* 그냥 지나치다 병 키우는 '잇몸병' *
통증 느낄땐 이 빼야…조기에 다잡는 게 현명
'꼼꼼하게' 올바른 양치질이 예방책
초기엔 스케일링만 해도 완치 가능.. 건강상태 나빠져도 생길 수 있어
<영남일보,유선태기자>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세계 보건 통계를 보면 2005년 기준으로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78.6세다. 전 세계 194개국 가운데 26번째 장수국가다. 바야흐로 실버세대가 도래한 것이다. 노령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치과 영역 가운데 노인치과질환, 특히 잇몸병으로 불리는 치주질환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스케일링 비용을 아끼려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뿐 아니라 치아를 잃어버릴 수도 있다.
대구시치과의사회 조무현 회장(조무현치과 원장)은 "많은 사람들이 잇몸병 초기, 통증이 심하지 않아 참을 수 있다고 여기며 그냥 지나치다 결국 이를 빼는 경우가 많다"며 "잇몸병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고 평소 꾸준히 관리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말했다.
◆잇몸병은 왜 생기나요
잇몸병은 간단히 잇몸이라 일컫는 연조직에만 국한되는 경우(치은염)와 치아를 둘러싼 잇몸뼈까지 진행된 경우(치주염)로 나눌 수 있다. 통계에 따르 면 20세 이상 성인의 과반수가 다양한 잇몸질환 초기 상태에 있으며, 35세가 지나면 4명 중 3명은 잇몸질환에 걸린다고 한다. 40세 이상의 장노년층에 이르면 80%가 잇몸질환을 앓은 경험이 있다. 따라서 중년 이후에 이를 빼는 경우는 대부분 잇몸질환 때문이다.
잇몸병은 심한 통증 없이 진행되므로 대개 본인이 통증을 느낄 때에는 이미 이를 빼야 할 정도로 심해져 있다. 염증이 잇몸에만 국한돼 있는 초기라면 스케일링만 받아도 완치가 가능하다. 중기를 넘어서 잇몸뼈에 손상이 있을 경우 국소 마취를 한 다음 부어오른 잇몸을 잘라내고 치아 뿌리 깊숙이 박힌 치석과 불순물을 제거해야 한다. 염증이 잇몸뼈까지 번지면 치아를 뽑을 수밖에 없으며 얼굴이나 목의 고름을 제거하는 대수술을 받기도 한다.
잇몸병이 생기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입 안에 문제가 있거나 전신 건강이 좋지 않은 경우다.
입 안에 문제가 있는 경우 잇몸 염증의 가장 큰 원인은 치아에 붙은 음식물찌꺼기와 세균 덩어리인 플라크와 치석(플라크가 돌처럼 석회화된 형태)이다.
치석에 들어있는 세균들은 독소를 만들어내고 이것이 잇몸 속으로 침투, 염증을 일으켜 잇몸질환을 일으킨다. 치열이 고르지 않거나 보철물이 잘 맞지 않는 경우, 항상 입으로 숨을 쉬는 경우, 담배를 많이 피우는 경우에도 잇몸병이 생긴다. 이는 플라크와 치석이 만들어지기 좋은 환경이기 때문이다.
질병에 걸리거나 영양 상태가 나쁠 때도 잇몸질환이 생긴다. 건강이 나빠지면 세균에 대한 저항력과 조직 재생 능력이 떨어져 입 안의 세균이 더욱 활발하게 움직인다.
특히 당뇨병은 직접적으로 잇몸질환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건강한 사람에 비해 잇몸질환에 걸릴 확률이 3배나 높으며, 일단 잇몸질환에 걸리면 쉽게 낫지 않고 염증이 심하게 진행된다.
그 밖에도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사춘기에 분비되는 호르몬에 이상이 생긴 경우, 임신을 했거나 아기에게 젖을 먹이는 여성 등에게 잇몸병이 자주 발생한다.
◆치료와 예방은 어떻게
모든 병의 치료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고 중요한 것은 그 질환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잇몸병도 마찬가지다. 주요 원인 인자인 플라크와 치석을 제거하는 것이 우선된다.
질환의 정도, 환자의 구강관리 상태, 다른 전신질환의 유무 등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치석을 제거한 후 염증에 의해 파괴된 치조골을 회복시킨다. 치조골 소실이 심하면 부분적으로 이식수술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증상이 아주 심하면 치료가 불가능하고, 결국 치아를 빼고 인공치아(임플란트) 등으로 대체해야 한다.
잇몸병은 재발률이 높아 수술이나 치료가 끝난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최소 6개월 단위로, 정기적인 치료 검진이 필요하다.
잇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양치법이 가장 중요하다. 양치질은 입안의 음식찌꺼기와 치석을 제거해 준다. 횟수와 시간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꼼꼼히 닦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양치질은 하루에 4번, 식사 후 3분 이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아에 붙어있던 세균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간이 식후 3분 동안이기 때문이다.
또 음식찌꺼기는 이 사이 사이에 끼기 때문에 한 번 할 때마다 최소 3분 이상 정성 들여 구석구석 닦아야 한다. 조 회장은 "올바른 양치질이야말로 잇몸병뿐 아니라 구강 내 모든 질환을 막는 가장 좋은 보약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칫솔을 가볍게 잡고 잇몸에서 치아 쪽으로 덮어 내리듯이 닦는 '회전법'이 좋다. 윗니는 위에서 아래로, 아랫니는 아래에서 위로 잇몸에서부터 치아의 결을 따라 닦아내는 방법이다. 또 잇몸과 혀도 같이 닦는다. 칫솔이 닿기 힘든 어금니 사이 사이는 치실이나 치간 칫솔을 이용해 찌꺼기를 없애는 것이 좋다. 순서를 정해 먼저 치아 바깥쪽 면을 닦고 그 다음에 치아 안쪽 면, 씹는 면의 순으로 차례차례 닦는다.
칫솔 교환은 하루 3번을 기준으로 했을 때 3개월 전후가 적당하다. 앙치질 후에는 반드시 솔 부분을 깨끗이 헹구어 세로 방향으로 세워 완전히 말려주어야 세균 번식을 줄일 수 있다.
◇도움말=조무현(대구시치과의사회 회장·조 무현치과의원 원장)
아픈것 중에서 이빨아픈 치통이 참으로 견디기가 어렵더군요..저도 얼마전 이가 아파서 치과에 갔더니 아래 사랑니가 잇몸속에서 어금니를 떠밀고 있어..그 틈세로 치석이 들어간 것이 원인이라고 하더군요..제대로 고칠려면 사랑니를 뽑아야 한다는데...고놈의 사랑니가 잇몸속에 그것도 턱뼈속에 깊숙히 신경이 붙어 있대요..그래서 사랑니를 뽑을려면 큰 병원에가서 수술을 해야된데요..공사가 하도 커서 엄두도 못내고 치료만 하고 왔는데.. 재발 가능성이 있다고 하더군요..그래서 걱정입니다...ㅎㅎ
2007.05.30 호젓한오솔길
'♥ 오솔길 자료실 ♥ > 좋은글,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이스 피싱, 전화사기 (0) | 2007.06.01 |
---|---|
남자들이 좋아하는 타입 (0) | 2007.05.31 |
불면증 십계명 (0) | 2007.05.29 |
목욕, 때밀기 (0) | 2007.05.26 |
안면경련증 (0) | 2007.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