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일 장기읍성
* 언 재 : 2010. 10. 09 (토요일)
* 어디서 :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
늘 한번 가보아야겠다고 생각은 하면서도 일부러 날을 잡아 가볼 수도 없고 하여 잊고 지나온 영일 장기읍성. 오늘 회사에서 장기면에 있는 실버 유락원에서 봉사활동이 있어 참여하고 돌아오는 길에 비가 내린 뒤라 날씨도 축축하고 어중간한 시간에 기회다 싶어 장기읍성에 들러 주위 풍경들을 사진에 담아본다. 아침에 비가 내리고 흐린 날씨라 조망이 그리 좋지는 않아도 그래도 가을 내음이 풍기는 장기읍성에서 시원하게 불어주는 가을바람을 맞이해본다.
* 성곽에 올라 바라본 읍내리와 멀리 신창리 앞바다 풍경.
영일 장기읍성 [迎日長鬐邑城]
경북 포항시 장기면 읍내리에 있는 고려~조선시대의 읍성터.
소재지 시대 크기 종류
지정번호
사적 제386호
지정연도
1994년 3월 17일
경북 포항시 장기면 읍내리 127-2외
1011년(고려 현종 2) 축성
지정면적 12만 4936㎡
읍성터
사적 제386호. 지정면적 12만 4936m2. 성 둘레 약 1,400m. 성벽 높이 3.7~4.2m. 성벽 두께는 하부 7~8m, 상부 약 5m. 석축은 잘 다듬어진 큰 돌(가로 120cm, 세로 70cm)로 기초를 다져 수직으로 정교하게 쌓았으며, 동 ·서 ·북문의 터와 수구(水口) 1개소, 12개소의 치성(雉城), 5개소의 우물, 3개소의 못 등이 옛 성의 모습을 그대로 짐작할 수 있을 만큼 잘 보존되어 있다. 산성(山城)과 같은 기능을 겸한 읍성으로서 해발 252m의 동악산(東岳山)에서 해안쪽인 동쪽으로 뻗어 내려오는 지맥 정상(해발 100m)의 평탄면에 축성된 동 ·서로 약간 긴 마름모꼴이다. 성 전체의 모양은 연잎 모양의 말굽형이며, 180도 시각으로 동해바다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쌓았다. 1011년(현종 2) 축성되었는데, 당시 고려가 여진족의 해안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토성(土城)이었으나, 조선시대에 들어 1439년(세종 21) 왜구의 침입에 대비, 돌성으로 재축된 후 군사기지 등으로 이용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기록에는 읍성 둘레 2,980척(약 1,392m), 높이 10척으로, 성내에는 우물 4개소, 못 2개소가 있던 것으로 되어 있는데, 지금 남은 읍성의 규모도 이 기록과 별 차이가 없다. 읍성의 축조 방법은 평지 읍성, 소구상(小丘上) 읍성, 산성적 읍성 등 크게 3가지로 나눌 수가 있는데, 산성적 읍성으로 한국에서는 매우 귀한 존재이며, 현존 유구(遺構)의 보존상태가 좋아 읍성 연구에 귀중한 유적이다. * 장기면 읍내리 풍경 *읍내리 [邑內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에 있는 리(里)이다. 동악산과 용마산이 위치한다. 자연마을로는 성안, 용전, 서원마을, 죽성, 하성장터 등이 있다. 성안은 옛 장기읍성 안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용전은 읍성의 남쪽에 위치하며, 뒷산이 용마산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대나무가 많으므로 죽전이라고도 하나 이곳 주민들은 용전이라고 한다. 서원마을은 죽성과 용전 사이에 우암 송시열 선생을 기리는 죽림서원(竹林書院)이 생기면서, 이곳을 일러 서원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이러한 이름을 붙였다. 죽성은 읍성 남쪽 아래에 대나무가 마치 성곽을 이루어 놓은 듯이 많이 있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하성장터는 읍성의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장기읍성 동문을 따라 내려와 현 장기면사무소가 있는 곳과 장기초등학교 입구에 위치한 마을이다. * 읍성내 마을 풍경. * 시원한 가을바람이 불어주는 성곽을 따라 올라갑니다. * 읍내리와 황금 들녘. 영일 장기읍성 영일 장기읍성(迎日長鬐邑城)은 사적 제386호로,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에 소재한다.동악산에서 동쪽으로 뻗은 등성이에 있으며, 그 구릉 아래쪽으로는 장기천이 동해로 흘러 현내 들판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 향교만이 복원 유지되고 있을 뿐, 잡초에 묻힌 성벽은 허물어진 곳이 대부분이다. 이 읍성은 일찍부터 동해안을 지키는 다른 읍성들과 같이 중요한 군사기지였음이 그 특성이라 하겠다. 동해안의 중요 진성을 들면 울산의 처용암지방·울주군 강동면 정자리지방, 양남의 수념지방·감포·장기·포항·영일지방·흥해·칠포지방들인데 이들 지역은 해안선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펼쳐져 있고 삼국시대에는 서라벌을 침공하는 왜구를 방어한 군사기지로, 고려·조선시대에도 같은 역할을 하였다.
* 읍성 내 마을 풍경. 멋진 기와집이 몇 채 보여 살짝 당겨봅니다.
장기향교 [長鬐鄕校]
경상북도 포항시 장기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
소재지 시대 종류
지정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경북문화재자료 제327호
지정연도
1997년 9월 29일
경상북도 포항시 장기면 읍내리 202
조선
향교
1997년 9월 29일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27호로 지정되었다. 1405년(태종 5)에 건립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1600년(선조 33)에 중건하였으며, 1785년(정조 9) 지방의 학문을 부흥시키기 위해 현감 황익진(黃翼振)이 마현행단(馬峴杏壇)으로 이건하였다. 1931년에 군수 김영수가 향사들과 함께 읍성에 있던 구객관을 수리하여 명륜당과 대성전을 건립하여 위패를 옮겨 안치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서문경(徐文慶), 서극인(徐克仁), 이대임(李大任), 이눌(李訥) 등이 향교에 봉안해오던 위패를 용암석굴에 옮겨 보호하고 의병을 일으켰기 때문에 건물은 소실되어으나 위패만은 무사하였다.
대성전, 명륜당, 신삼문, 동재, 장경각, 대문 등의 건물이 보존되고 있으며, 향교 앞의 하마비는 근래 새로 만들어 세운 것이다. 인근 55문중이 매년 봄가을 2회 (2월, 8월 상정일) 향제를 지내다가, 지금은 8월 상정일에만 지내고 있다.
* 성곽 돌 틈에 핀 코스모스.
* 성곽을 따라 시멘트 틈새로 비집고 올라온 가을 코스모스가 화사하다.
* 가을이 화사합니다.
장기읍성
시 대: 고려
소재지: 경북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
규 모: 지정면적 124,936㎡
지정사항: 사적 제386호
고려시대에 축조된 장기지역의 읍성. 《고려사》에 의하면, 1101년(현종 2)에 동쪽으로 왜적을 막고 북쪽으로 여진족의 해안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토성이었다 하는데, 그 후 1439년(세종 21) 왜구에 대비하기 위하여 석성으로 개축하여 동해안의 군사기지 및 관아로 이용되었다.
산성의 역할을 겸한 읍성으로서 해발 252m인 동악산에서 해안 쪽인 동쪽으로 뻗어내려오는 지맥 정상에 축성된 동서가 긴 마름모꼴 형태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 기록에 의하면, 당시 읍성의 둘레는 2,980척(약 1,392m), 높이 10척으로, 성내에 우물 4개소, 못 2개소가 있었다 하였다. 현재 읍성의 둘레는 약 1.3km, 성벽 높이 약 3.7~4.2m, 성벽 두께는 하부가 약 7~8m, 상부가 약 5m이고 동·서·북의 성문터와 수구 1개소, 12개소의 치성, 5개의 우물과 3개소의 못이 남아 있다. 그리고 성 안쪽에는 교육기관이었던 장기향교와 관청이었던 동헌의 터가 남아 있다. 이 읍성이 산 위에 있게 된 것은 지리적 특성을 들 수 있는데, 서쪽으로는 산 정상이 가로막고 있고, 남북으로는 인근 고을이 떨어져 있어서 유사시에 오랜 시간 농성하면서 인근의 구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시간적 여유를 가지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 성안으로 통하는 길이있는 곳.
* 성안으로 통하는 문.
* 감나무가 있는 곳. 여기서 돌아섭니다.
* 가을이 머무는 풍경.
* 억새.
* 가을바람이 시원합니다.
* 억새와 대나무.
* 성곽을 따라 내려옵니다.
* 고목 느티나무 두 그루가 지난 역사를 이야기한다.
* 몰려오는 왜구들을 바라보는.. 초조한 병사들의 함성이 들리는 듯하다.
* 느티나무 사이로 바라본 향교.
* 살살 당겨 봅니다.
* 조금 더..
* 향교 전경.
* 느티나무 아래로..
* 느티나무에 생긴 구멍.
* 감아 올라간 담쟁이넝쿨에.
* 아름다운 가을이 물들어간다.
* 전쟁의 아린 상처 자국을.. 아름다운 치장으로 달래며, 모진 세월 그렇게 견디어 왔다.
* 향교와 복구작업 중인 장기읍성 풍경.
* 억새와 가을.
* 장기읍성과 동악산.
* 역시 가을은 풍요롭다.
* 복구 중인 읍성에서.
* 가을 향기 짙어가는 장기읍성 풍경..
* 영일 장기읍성 위치.
2010.10.09 호젓한오솔길
'♥ 오솔길 산행방 ♥ > 여행,삶의흔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주산, 호군공 정지심 장군 묘소 (0) | 2010.12.25 |
---|---|
제9차, 향우회 정기산행 동대산 (0) | 2010.11.23 |
한가위 추억(2010) (0) | 2010.09.24 |
추석, 한가위 추억...(2010) (0) | 2010.09.23 |
여물어진 강냉이 (0) | 2010.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