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사 [大乘寺]
경북 문경시 산북면(山北面) 사불산(四佛山)에 있는 사찰. 대한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사불산 산마루에는 사면(四面)석불상이 있는데 《삼국유사》 권3 <사불산조>에 587년(신라 진평왕 9) 커다란 비단 보자기에 싸인 사면석불이 공덕봉(功德峰) 중턱에 떨어졌는데, 사면에 불상이 새겨진 4불암이었다. 왕이 소문을 듣고 그곳에 와서 예배하고 절을 짓게 하고 ‘대승사’라고 사액(賜額)하였다. 망명비구(亡名比丘)에게 사면석불의 공양을 올리게 하였고, 망명비구가 죽고 난 뒤 무덤에서 1쌍의 연꽃이 피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 뒤 산 이름을 사불산 또는 역덕산(亦德山)이라 하였다.
1644년(인조 22)과 1722년(경종 2)에 의현(義玄) ·종수(鍾守) 등이 중수하였고, 1831년(순조 31) 구담(九潭)이 중창하였다. 1922년 대화재로 불타, 의운(義雲) ·덕산(德山)이 복원시켰는데, 1956년 또 대화재가 발생, 명부 ·극락전만 남고 소실되어, 1966년 남인(南印) ·대휴(大休) 등에 의해 삼창(三創)되었다. 이 절에는 보물 제575호인 대승사목각탱부(木刻幀附) 관계문서(4장)와 사적비(寺跡碑) 및 아미타불사에서 나온 《금자화엄경(金字華嚴經)》(7권), 불사리 1과(顆) 등이 있다. 부속암자로 반야암(般若庵) ·묘적암(妙寂庵) ·상적암(常寂庵) 등이 있는데, 특히 반야암은 기화(己和)가 《금강반야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經五家解說義)》(1415)를 지은 곳으로 유명하다.
문경 대승사 노주석 [聞慶大乘寺露柱石]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대승사의 대웅전 앞뜰에 있는 석등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7호로 지정되었다. 대승사 대웅전 앞뜰에 있는 석등으로 1729년에 제작된 것이다. 석등은 사찰에서 예불 의식 에 필요한 기본적 도구이며, 야간 법회 등의 행사 때 주위를 밝히는 기능을 한다. 노주석은 석등 보다는 앞선 형식이지만 고려시대 이전의 것은 아직까지 알려진 것이 없으며 조선시대의 유물이 영남지역에 소수 남아있을 뿐이다.
형태는 사각형의 지대석 위에 사각기둥을 한가운데 세우고 그 위에 받침이 있는 화반(花盤)을 올려놓았다. 오랜 세월동안 사용하여 화반 일부가 금이 간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완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꾸밈이 없이 수수한 형태는 조선시대 불교미술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2008년 11월 3일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7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8번지 대승사에 있다.
공덕산 [功德山], 사불산(四佛山)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山北面)과 동로면(東魯面) 경계에 있는 산. 높이는 912m이다. 산 중턱 바위 사면(四面)에 부처님의 모습이 조각된 사불암(四佛岩)이 있다 하여 사불산(四佛山)이라고 한다. 운달산(雲達山:1,097m)과 이웃해 있으나 알려지지 않아 찾는 사람이 드물다.
문경시 점촌동에서 영주·안동·예천 방면으로 가다 문경농공단지가 있는 산양면(山陽面)에서부터 멀리 천주산(836m)과 함께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사불암에서 내려서면 바로 윤필암이다. 길목에는 장군수(將軍水)라 부르는 샘이 있는데 이 물을 오래 마시면 장군과 같이 힘이 난다고 전한다.
산기슭에 신라 진평왕 9년(587)에 창건된 대승사(大乘寺)가 있으며, 대승사 목각탱부관계문서(보물 575), 문경 대승사 금동보살좌상(보물 991), 대승사 마애여래좌상(경북유형문화재 239) 등 불교 문화재가 있다.
2010. 호젓한오솔길
'♥ 오솔길 산행방 ♥ > 문화,고적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왕산 대전사 (0) | 2010.12.04 |
---|---|
문경 대승사 윤필암 [閏筆庵] (0) | 2010.12.03 |
해인사 성철대종사부도탑 (0) | 2010.12.03 |
해인사 용탑선원 (0) | 2010.12.02 |
가야산 해인사 [海印寺] (0) | 2010.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