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국(甘菊), 황국(黃菊)
산행길에서 골짜기 가득히 향기를 내품는 황색 감국을 만나면 발걸음이 한층 가볍다..햇살이 다사롭긴 하지만 제법 쌀쌀한 가을날씨 건만 벌,나비들도 그윽한 국화향기의 유혹에는 어쩔수가 없는 모양입니다.
야생화 중에서 제일 늦은 가을 찬서리가 내릴때 까지 홀로 남아서..옛날 선비들의 사랑을 독차지 하여 사군자의 한자리에 올라있는 국화가..한약재로 서도 거의 만병통치약이나 다름이 없더군요..하여 관련 자료들을 모아서 한번 올려봅니다..
감국 [甘菊]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 |||||||||||||||
|
황국(黃菊)이라고도 한다. 주로 산에서 자란다. 풀 전체에 짧은 털이 나 있고 줄기의 높이는 60∼90cm이며 검은색으로 가늘고 길다. 잎은 짙은 녹색이고 어긋나며 잎자루가 있고 달걀 모양인데 보통 깃꼴로 갈라지며 끝이 뾰족하다.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9∼10월에 줄기 윗부분에 산방꼴로 두화(頭花)가 핀다. 꽃은 지름 2.5cm 정도이며, 설상화(舌狀花)는 노란색이나 흰색도 있다.
10월에 꽃을 말려서 술에 넣어 마시고, 어린 잎은 나물로 쓴다. 꽃에 진한 향기가 있어 관상용으로도 가꾼다. 한방에서 열감기·폐렴·기관지염·두통· 위염·장염·종기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민간요법으로는 풀 전체를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생초를 달인 물로 환부를 씻어낸다. 한국·타이완·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국화의 역사
국화는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중 가장 역사가 오랜 꽃이며, 사군자의 하나로 귀히 여겨왔다. 중국 원산이라고 하나, 그 조상은 현재 한국에서도 자생하는 감국이라는 설, 산국과 뇌향국화와의 교잡설, 감국과 산구절초와의 교잡설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재배를 시작한 시기는 당대(唐代) 이전으로 추정된다.
두통, 현기증, 어지럼증에 좋은 감국
감국은 특유한 향기가 있고 약성은 조금 달며 쓰고 찬편입니다.
국화에는 쿠탄세논과 같은 정유나 아데닌, 프린, 베타인, 황색 색소인 크리사세민 등이 들어 있습니다. 이들 성분이 해열, 해독, 감기로 인한 두통, 현기증, 귀울림, 눈의 충혈, 종기 등을 해소 시켜준다고 합니다.
눈과 머리를 시원하게 하고 눈물이 나는 것을 멎게 하며 열을 내리며, 가슴 속에 열이 있어 답답한 증상, 폐렴, 기관지염, 두통, 어깨결림, 고혈압에 효과가 있습니다. 간기능과 충혈, 생리불순과 여드름 등 피부트러블에 사용하고 정신이 맑아지고 한여름에는 갈증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본초강목] 에는 감국차를 "오랫동안 복용하면 혈기에 좋고 몸을 가볍게 하며 쉬 늙지 않는다. 위장을 평안케 하고 오장을 도우며 사지를 고르게 하고 감기, 두통, 현기증에 유효하다." 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꽃을 말려서 달여 먹으면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울 때, 고혈압과 중풍환자에게 좋다고 합니다. 또 눈이 침침하여 잘 안보일 때나 미열이 있을 때 효과가 좋으며 담즙 분비가 부족할 때 촉진제로 쓰입니다.
두뇌를 많이 쓰는 정신노동을 하는 사람과 눈을 혹사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의 안질환증상에 꽃 세송이 정도를 전제하여 날마다 장복하면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감국은 모든 풍과 머리의 어지러움, 종통, 눈물이 나오는 것과 악풍, 습비 등을 다스린다고 합니다.
오래 먹으면 혈기를 이롭게 하고 몸이 가벼워지며 장수하며, 감국은 요통을 다스리고 가슴 속의 번열을 덜어주며 장과 위를 안정시키고 사지의 활기를 고르게 하고 혈맥을 이롭게 하며 간기의 부족을 다스린다고 합니다.
고혈압에 좋은 감국
혈압이 높다는 것은 혈관의 탄력성이 떨어졌다는 뜻입니다. 혈관의 탄력성이 떨어지면 그만큼 혈전이 생길 확률이 높습니다. 2003년까지만 해도 정상 혈압은 130/85mmHg 미만이었으나, 최근 대한고혈압학회가 그 기준치를 120/80mmHg 미만으로 대폭 강화했습니다. 그만큼 고혈압 이 뇌졸증, 심근경색의 전조이자 혈전 생성의 중요한 조건이라는 의미 입니다. 한방에서는 혈압을 강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약초, 음식으로는 감국(국화), 결명자 등이 있습니다.
감국의 꽃봉오리를 약용한 것으로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조금 찹니다. 꽃에 진한 향기가 있어 관상용으로도 쓰이며, 한방에서는 열감기, 폐렴, 기관지염, 두통, 위염, 장염, 종기 등의 치료에 처방합니다. 감국은 혈압을 내리게 하는 작용이 있어, 혈압이 높아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울 때 쓰입니다. 눈이 충혈이 잘되고 시력이 약할 때 쓰이며, 관상동맥 확장작용이 있어 협심증에 쓰인다고 합니다.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강셩황(조선시대 이름)性平味甘無毒安腸胃利五脈調四肢主風眩頭痛養目血止淚出淸利頭目療風濕痺
성평미감무독(性平味甘無毒 성질은 평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음)한 약재로, 장위(腸胃)를 안정시키고, 오맥(五脈) 이롭게 하며, 사지(四肢 팔과 다리)를 조화롭게 하는가 하면, 풍현(風眩 풍으로 인한 어지럼증)과 두통(頭痛)을 치료하는 데 쓰고, 목혈(目血 눈의 정혈)을 기르고 누출(淚出 눈물이 나옴)을 그치게 하며, 두목(頭目 머리와 눈)을 맑고 시원하게 하고, 풍습비(風濕痺)를 치료하는 데 쓴다.
○處處種之菊類甚多惟單葉花小而黃葉綠色深小而薄應候而開者是眞也
어느 곳에나 파종하여 서식하는 데, 국화의 종류가 아주 많지만, 단지 꽃잎이 단엽(單葉 홑이파리)이면서 작고 황색을 띠며, 잎은 풀색을 띠고 작으며 엷은 것만을 약으로 쓰는 데, 늦가을에 꽃이 피는, 이런 것이 진짜다.
○甘者入藥苦者不用
단맛이 나는 것은 약에 쓰나 쓴맛이 나는 것은 것은 약으로 쓰지 못한다.
○野菊爲薏菊甘而薏苦甘菊延齡野菊瀉人花小氣烈葉靑者爲野菊
야국(野菊 들국화)은 의국(薏菊)이라고도 하는 데, 감국(甘菊 단국화)은 달고 의국(薏菊)은 맛이 쓴 데, 감국(甘菊) 오래 살게 하고, 야국(野菊)은 사(瀉)하게 하며, 꽃이 작으면서 매우 향기로우며, 줄기가 푸른 것은 야국(野菊 들국화)이다.
○正月採根三月採葉五月採莖九月採花十一月採實皆陰乾用之(本草)
뿌리는 음력 1월에 채취하고, 잎은 3월에, 줄기는 5월에, 꽃은 9월에, 씨는 11월에 채취하여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음건(陰乾 그늘에서 서서히 말림)해서 쓴다(본초).
'가을 별미' 국화차 만들기 '가을 별미' 국화차 만들기
소금물에 살짝 데쳐 건조시켜야
국화는 가을의 꽃이다. 향기가 특별해 많은 사람들이 차로 만들어 가을의 맛을 즐기곤 한다.
국화를 맛보기 위해 주변 여기저기에 피어있는 국화로 차를 만드는 사람도 있지만 잘못 만든 국화차는 오히려 독이 되는 법. 국화를 제대로 고르고 차로 만드는 법을 소개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국화는 모두 500여종이다. 그러나 모든 국화가 다 식용으로 적합한 것이 아니다. 길에서 볼 수 있는 들국화들은 독성이 강해 차로 마시기에 적합하지 않다.
국화향산업의 설립자 안수석 씨는 '국화는 보통 대국과 소국으로 나누지만 국화차에 사용할 식용 국화는 소국 중에서도 꽃 가운데 열매를 맺게 하는 심이 없고 솜털처럼 부드러워 씨가 맺히지 않는 종류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원예단지에는 식용국화를 따로 팔기도 한다.
국화가 혈압을 낮추고 풍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고 해서 한약재로도 쓰인다. 국화의 효능은 『본초강목』에 '혈기에 좋고 몸을 가볍게 하며 위장을 평안케 한다. 감기, 두통, 현기증에 유효하다'고 되어 있고 민간에서는 말린 꽃을 베갯 속으로 하면 두통에 좋다고 한다. 차로 마시지 않고 약으로 쓰는 경우에는 백국화, 황국화 등도 증상에 따라 사용한다. 두통에는 황국화를 쓰고, 눈이 침침할 때는 백국화를 쓴다고 한다.
국화꽃은 피고 질때까지 보통 60일 정도 있는데 그 사이에 찬서리를 보름 가량 맞아야 약으로서 효과가 있다고 한다. 무서리가 내리거나 열흘 이하로 찬서리가 내리는 지역에서 난 국화는 약으로 효과가 없다.
국화차는 감국차라고도 한다. 국화차에 사용할 국화는 향이 중요하므로 꽃이 다 피지 않고 80%정도 피었을 때 전지가위로 채취한다. 채취한 국화는 향을 보존하기 위해 건조시킬 때 저온 건조하도록 한다. 국화는 꽃잎이 많고 겹겹이 에워싸여 있어 오래 두고 부패하지 않게 속까지 말리려면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꽃송이를 반쯤 잘라서 말려도 된다. 따온 국화는 이물질을 잘 분리한 후 소금을 넣은 뜨거운 물에 살짝 데친 후 소쿠리에 건져 물기를 짜고 4-5일 간 말려야 하고 저온 건조기를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말릴 수 있다. 국화차를 마실 때는 뜨거운 물 한 잔에 꽃 2-3송이 정도를 넣어 마시는 것이 적당하다.
2007.10.19 호젓한오솔길
'♥ 오솔길 산행방 ♥ > 야생화,꽃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 꽃들의..가을 나들이 (0) | 2007.11.02 |
---|---|
용담 (0) | 2007.10.23 |
나팔꽃 (0) | 2007.10.09 |
고마리 꽃 (0) | 2007.10.05 |
들국화 (쑥부쟁이,구절초) (0) | 2007.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