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산에 가느냐고 내게 묻지 마오. / 김좌응 왜? 산에 가느냐고 내게 묻지 마오. / 김좌응 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 왜? 사느냐고, 내게 묻지 말아주오. 너무 잔인한 질문이요. 그것에 답 할 자가 몇이나 되겠소. 인생이란 걸어가는 그림자, 바보들이 지껄이는 시끄러운 이야기라고, 내게 말하지 마오. 유관순 누나는 만세 부르다 처참하게 죽고, .. ♥ 오솔길 자료실 ♥/산글,산행자료 2007.12.31
나는 아무래도 산으로 가야겠다 / 김장호 나는 아무래도 산으로 가야겠다 / 김장호 나는 아무래도 산으로 가야겠다. 그 외로운 봉우리와 하늘로 가야겠다. 묵직한 등산화 한 켤레와 피켈과 바람의 노래와 흔들리는 질긴 자일만 있으면 그만이다. 산허리에 깔리는 장비빛 노을, 또는 동트는 잿빛 아침만 있으면 된다. 나는 아무래도 다시 산으로.. ♥ 오솔길 자료실 ♥/산글,산행자료 2007.12.31
겨울산행, 우선 옷부터 잘 챙겨라! 겨울산행, 우선 옷부터 잘 챙겨라! --> 등산의 참맛은 겨울산행이라는 말이 있다. 특히 눈쌓인 산을 오르는 눈꽃 트레킹은 잊을 수 없는 추억을 안겨준다. 하지만 겨울산행은 자칫 준비 소홀로 화를 당할 수 있기 때문에 등산객들은 꼼꼼한 준비와 체크가 필요하다. 원종민 코오롱 등산학교 차장은 “솔.. ♥ 오솔길 자료실 ♥/산글,산행자료 2007.12.29
“오르기 전(前) 거울을 봐라” “오르기 전(前) 거울을 봐라” 산에 어울리는 옷은 따로 있다… 등산복 가이드 이성훈 기자 inout@chosun.com 등산을 즐기는 사람에게 계절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능선을 타며 흘린 땀을 매서운 칼바람에 식히는 맛도 매력이 있다. 하지만 ‘복장 불량’ 상태로 겨울 산을 오르다간 동상(凍傷)에 걸리거나.. ♥ 오솔길 자료실 ♥/산글,산행자료 2007.12.29
겨울산행 주의사항 겨울산행 주의사항 <날씨점검, 장비확보 치밀한 준비없으면 "위험"> 양말, 장갑은 여벌준비… 비상식량 꼭 지참 - [길 잃었을 땐 그 자리서 구조대 기다려야] 설화가 만발한 겨울산이 손짓하고 있다. 연중 등산의 묘미를 가장 만끽할 수 있는 계절은 단연 겨울철. 겨울산행은 설경을 만끽하며 기상.. ♥ 오솔길 자료실 ♥/산글,산행자료 2007.12.29
겨울산행 장비 겨울산행 장비 1. 등산화 당연히 창이 딱딱한 겹가죽 중등산화여야 한다. 홑겹 가죽이나 캔버스 천을 댄 것은 눈길에서 스텝커팅을 할수 없고 아이젠을 착용해도 불안정하다. 산행에 나서기 전에 왁스를 충분히 골고루 발라야 눈밭에서도 젖지 않는다. 2. 배낭 야영을 원할 경우 등판에 프레임이 내장.. ♥ 오솔길 자료실 ♥/산글,산행자료 2007.12.29
[스크랩] “우리나라 산은 4천440개” “우리나라 산은 4천440개” 전국에 몇 개의 산이 있을까. 산림청은 작년 10월부터 1년간 국토지리정보원의 자연지명 자료를 기초로 현장 숲길 조사, 수치지형도 분석, 지방자치단체와 지리.지형학계, 산악단체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우리나라 산이 모두 4천440개로 조사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국토지.. ♥ 오솔길 자료실 ♥/산글,산행자료 2007.12.28
[스크랩] 2005년 ‘새산맥지도’ 둘러싼 산맥 개념 논쟁 2라운드 2005년 ‘새산맥지도’ 둘러싼 산맥 개념 논쟁 2라운드 《‘유령 산맥이냐, 진짜 산맥이냐.’ 기존 산맥(山脈) 체계에 반대해 2005년 국토연구원이 내놓은 ‘새 산맥지도’를 놓고 2년을 끌어온 ‘산맥 논쟁’이 새 국면을 맞게 됐다. 그간 논쟁의 핵심은 ‘기준을 땅 밑 지질로 삼느냐 아니면 땅 위 지형.. ♥ 오솔길 자료실 ♥/산글,산행자료 2007.12.28
[스크랩] 겨울 레저 땐 보온 소재 받쳐 입어야 겨울 레저 땐 보온 소재 받쳐 입어야 쌀쌀한 날씨에 야외 활동을 하려면 무엇보다 체온 유지에 신경 써야 한다. 등산객들이 겨울 산을 오르고 있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겨울이 성큼 다가왔다. 등산과 자전거 타기 등 야외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찬 날씨는 반갑지 않은 손님. 하지만 준비만 잘한다면.. ♥ 오솔길 자료실 ♥/산글,산행자료 2007.12.28
[스크랩] 백두대간,산경표에 대해서 ▲ 영월의 서강에 자리한 한반도지형을 닮은 선암마을 ▲ 굽이 굽이.. 우리의 동강 ♣ 백두대간 여러 의미의 백두대간 1)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이 땅을 산과 강이 정연한 원칙에 따라 어우러져 있는 유기체와 같은 존재로 바라보았다. 전통적 지리 인식체계에서는 산의 흐름을 살아있는 나무에 비유.. ♥ 오솔길 자료실 ♥/산글,산행자료 2007.12.28